디지털 논리회로 EE201
게이트 레벨에서의 기초 디지털 논리 회로 및 디지털 시스템 설계 프로그램 언어 (VHDL) 사용법을 배운다. 실제로 적용이 가능한 설계 프로젝트에 학생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이론을 검증해보고, 더 나아가 디지털 설계에 대해 체험해본다.
의공학개론 MECH302
이 교과목을 통해 의공학에 대한 기초를 학습한다. 소프트 전자공학, 생물 의학 이미징, 약물 전달 시스템, 인공 달팽이관, 신경 센서/자극기, 생체 외팔 기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교과목 전반에 걸쳐 생물 의공학에 적용되는 기초 공학 원리를 탐구한다.
신호 및 시스템 EE301
신호(signal)와 시스템(system)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소개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푸리에 급수, 푸리에 변환, 라플라스 변환, z 변환, 샘플링 이론 등이 있고, 이들을 활용하여 시불변 선형 시스템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반도체 물성 개론 EE304
본 교과목은 반도체 물리와 반도체 소자의 기초원리에 대해 강의한다. 양자역학, 반도체 결정, 에너지 밴드, 전자와 전공의 이동 메커니즘을 포함한 기초적인 반도체 물리를 익히고, 이를 기반으로 반도체 소자의 근간이 되는 PN접합, 금속-반도체 접합, 반도체 이종접합 등에 대해 자세히 다룬다.
자동제어시스템 MECH309
이 교과목은 기계 및 전기 제어 시스템뿐만 아니라 화학 반응 공정 제어와 생물학적 반응 및 조정 시스템을 포함한 자동 제어 시스템의 동적 모델링 및 설계를 소개합니다. 주요 주제로는 피드백 제어(예: PID),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성능 측정, 안정성 및 안정도, 루트 로커스 방법, 보드(Bode) 다이어그램, 나이키스트 기준, 주파수 도메인 설계 분석 등이 포함된다.
전자회로 이론EE303
이 교과목에서는 Diode, BJT, MOSFET 등 널리 사용되는 기초 전자 소자들의 물리 특성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단일 종단 (single-ended) 및 차동 (differential) 증폭기를 설계하는 방법론과 성능 평가 방법들을 소개한다. 아날로그/디지털 회로 설계자가 되기 위한 기초 지식들과 회로 분석 방법들을 알아본다.
아날로그 전자회로 EE306
아날로그 설계의 핵심인 차동 연산 증폭기 설계를 다룬다. 선형화, 트랜스컨덕턴스 등 아날로그 회로 해석 방법부터, 차동 증폭기 설계, 음성 피드백, 노이즈, 주파수 해석 등 차동 증폭기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특성들을 심도있게 다룬다. 아날로그 회로 설계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깊이 있는 설계 지식들을 습득한다.
전자소자 개론 EE302
본 교과목에서는 선행교과목인 반도체물성개론에서 배운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반도체 소자의 동작 원리와 특성을 학습한다. PN접합과 PN접합 다이오드, 금속-반도체 접합 및 반도체 이종접합을 리뷰하고, Bipolar Transistor, MOSFET 동작 원리와 특성을 자세히 다룬다. 또한 실제 소자의 비이상적인 특성과 이러한 소자의 메모리에서의 응용을 학습한다.
통신의 기초 EE305
이 교과목의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아날로그 통신의 기술적 기초를 학습하게 하는 것이다. 신호및 시스템과 확률통계를 복습한 뒤에, AM/FM과 같은 아날로그 변복조 방식의 특징과 성능분석법에 대해 배운다
시스템의 통합적 모델링 MECH304
본 교과목을 통해 전기회로, 동역학, 유체역학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사고를 개발하고, 그러한 시스템의 수학적인 모델의 state equation이나 transfer function을 유도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Bondgraph를 활용하여 에너지 관점에서 전기회로, 동역학, 유체역학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unified approach) 방법을 가르친다. Bondgraph로 모델링이 완성되면, 그 모델로부터 state equation을 유도한 다음, 추가적인 해석(수학적, 시스템적)을 수행하여, 시스템의 거동을 분석한다.
강화학습 CSE402
본 교과목을 통해 강화 학습의 기초, 신경망을 통한 강화 학습 알고리즘, 그리고 최신 발전 사항을 학습한다. 또한, OpenAI Gym과 TensorFlow를 사용하여 강화 학습 알고리즘을 신경망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디지털통신 EE403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지털 통신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디지털 변복조 및 간단한 AWGN 잡음모델 하에서 성능분석, 채널 감쇄, 등화, 최적 수신기, 채널 용량과 오류정정부호와 같은 정보이론의 기초 개념들을 다룬다.
지능형제어시스템 EE406
이 과목은 동역학 시스템의 모델링과 데이터 기반 모델링, 상태 추정 및 linear quadratic control 에 대해서 배운다. 또한 무인이동체(쿼드로터)를 위한 동역학 모델과 제어방식을 학습하고, 강화학습의 기초를 소개하고 연습한다.
반도체공정개론 EE404
본 교과목은 실리콘 반도체 기반의 마이크로 나노 전자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양한 기초 공정을 다룬다. 박막형성, 포토리소그래피, 에칭과 같은 기본적인 공정의 방식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실제 소자 제작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배운다.
디지털 신호처리 EE401
이 교과목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현대 디지털 신호 처리의 여러 기법을 다룬다. 특히 이산 시간 신호 분석의 수학적 기초를 검토하고, 고속 푸리에 변환 알고리즘의 이론과 구현,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학습한다.
디지털 집적회로 설계 EE407
디지털 집적회로 설계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logic cell, 연산기, sequential 회로 등 기본 block들을 트랜지스터 레벨로 어떻게 설계하는지를 배운다. 또한, 디지털 회로에서의 기본적인 전력, 면적, 속도 등 여러 성능을 어떻게 최적화하는지에 대해서도 심도 깊게 다룬다.
반도체 공정실습 EE405
본 교과목에서는 선행과목인 반도체공정개론에서 익힌 트랜지스터 공정을 실습을 통해 실제 체험하고 심화학습한다. 직접 제작한 소자와 시스템의 특성을 측정하고, 소자 제작의 다양한 변수와 소자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이해하고 심화한다.
디지털 영상처리 EE402
이 과목은 학생들에게 알고리즘을 사용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와 조작의 핵심 개념과 기법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주제로는 이미지 필터링, 향상, 복원, 재구성, 분할, 형태학적 처리 등이 있으며, 알고리즘을 MATLAB에서의 구현까지 할 수 있도록 한다.